DX하'세영'✨
7주차: 에이블데이 & IT 인프라 시작 본문
🎉 Step 1 완료 기념! 5월 7일, 에이블데이를 진행했어요!
드디어 Step 1이 끝났습니다!
이를 기념하며 ‘에이블데이’라는 특별한 행사가 열렸는데요, 온라인으로 진행된 행사라 어떤 분위기일지 무척 궁금했답니다.
고생한 저희를 위해 kt에서 정성 가득한 선물을 잔뜩 보내주셨답니다!
무려 투썸 홀케이크 기프티콘이랑 케이크에 꽂을 수 있는 토퍼,
그리고 스탠리 텀블러도 주셨답니다! 가볍고 정말 좋더라구요 👍
오전엔 코딩테스트, 오후엔 특강 그리고… 온라인 회식?!
에이블데이의 시작은 코딩테스트로 시작됐습니다.
문제 길이도 길고 난이도도 꽤 있어서… 저는 간신히 한 문제를 풀었어요 😅
점심시간 이후에는 실무 특강이 이어졌는데요,
실제 IT 업계에서의 실무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정말 유익했습니다.
이런 생생한 이야기가 큰 동기부여가 되더라구요.
그리고...! 🎉
드디어 대망의 온라인 회식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처음엔 ‘온라인으로 회식을 어떻게 하지?’ 싶었는데
막상 시작되니 너무 알차고 재밌게 구성되어 있어서 오히려 바쁠 정도였어요 😂
5반과 6반이 모두 팀즈에 모여서 함께 시간을 보냈는데요,
첫 순서는 가볍게 초성 게임!
다들 손이 얼마나 빠르던지… 순식간에 정답을 맞춰서 깜짝 놀랐답니다.
정답자에겐 소정의 선물까지!
이어서는 ‘MAKE YOUR JOURNEY’ 다시 써보기,
그리고 캠프파이어 시간도 있었는데요,
패들릿에 서로에게 롤링페이퍼처럼 한마디씩 적어주는 따뜻한 시간이었어요.
마지막으로는 다 함께 단체 사진 찰칵!
화면 너머로지만, 함께여서 더 의미 있었던 시간이었어요!
드디어 시작! IT 인프라의 세계 - 컴퓨터 개론
컴퓨터란 무엇일까?
컴퓨터는 단순히 '인터넷 하는 기계'가 아니라,
데이터를 입력받고 → 처리하고 →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즉,
- 입력(Input): 키보드, 마우스, 센서 등으로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 처리(Processing): CPU가 데이터를 계산하거나 분석하고
- 출력(Output): 화면에 결과를 보여주거나 소리로 들려주는 역할을 해요.
컴퓨터의 기본 구성 요소
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나뉘어요.
하드웨어(Hardware)
직접 만질 수 있는 부품들!
- CPU (중앙처리장치): 컴퓨터의 두뇌, 계산과 판단을 담당
- RAM (메모리): 작업할 내용을 잠시 저장해두는 공간
- HDD/SSD: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장치
- 입출력장치: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등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를 움직이게 해주는 프로그램
- 운영체제(OS): 윈도우, macOS, 리눅스 등
- 응용 프로그램: 크롬, 워드, 엑셀 같은 프로그램들
0과 1의 세계: 디지털 데이터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0과 1, 즉 이진수로 처리해요.
텍스트, 이미지, 음악, 영상까지 전부 숫자로 바뀌어 계산됩니다.
(우리가 ‘안녕’이라고 입력하면, 컴퓨터는 사실 ‘101011...’ 같은 숫자로 이해하고 있는 거죠!)
IT 인프라 개요 – 디지털 세상의 토대를 배우다!
‘인프라’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긴 했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이번 수업에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디지털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IT 인프라에 대해 배웠어요.
이제부터는 컴퓨터를 단순히 ‘쓰는’ 걸 넘어서, 그 기반을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볼 거예요!
IT 인프라란?
쉽게 말해,
IT 인프라 = 디지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모든 기술적 기반
즉, 우리가 사용하는 앱, 웹사이트, 시스템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받쳐주는 구조를 뜻해요.
이번 수업에서는 IT 인프라를 5가지 큰 축으로 나눠 배웠습니다:
1️⃣ 하드웨어 인프라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비들!
-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전원 및 냉각 시스템 등
- 클라우드 이전에는 모든 기업이 자체 서버실을 갖고 직접 관리했어요.
✅ 핵심 키워드: 서버, 데이터센터, 랙, 전원공급, 이중화
2️⃣ 소프트웨어 인프라
하드웨어 위에서 돌아가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들
- 운영체제(OS), 미들웨어, 가상화 플랫폼 등이 포함됩니다
- 예: 윈도우 서버, 리눅스, VMware 등
✅ 핵심 키워드: OS, 미들웨어,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3️⃣ 네트워크 인프라
모든 장비와 시스템을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
- LAN, WAN,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이 포함
- 기업 내부망부터 인터넷까지 모두 해당돼요
✅ 핵심 키워드: IP, DNS, 라우팅, 보안, VPN
4️⃣ 클라우드 인프라
물리 장비 없이도 인프라를 사용하는 시대!
- AWS, Azure, KT Cloud 등
-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필요한 만큼만 빌려 쓰는 방식이에요
- 유지보수 부담은 줄이고, 확장성은 높일 수 있는 장점!
✅ 핵심 키워드: IaaS, PaaS, SaaS,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
5️⃣ 인프라 운용 – DevOps & MLOps
서비스를 운영하고 개선하는 방식도 인프라의 일부!
- DevOps: 개발(Development) + 운영(Operations)을 연결하여 빠르게 배포하고 안정적으로 운영
- MLOps: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운영/배포하는 체계 (ML + Ops)
- 자동화, 모니터링, CI/CD 도구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 핵심 키워드: CI/CD, 자동화, 모니터링, 배포, 모델 운영
✨ 마무리하며
이번 시간은 IT 인프라의 전체 지도를 보는 시간이었어요.
앞으로 이 중 하나씩 깊이 파고들며 실습도 병행하게 될 예정입니다.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결국 "서비스가 돌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이제 저는
"왜 이 기술이 필요한가?",
"실제로 어떤 구조로 운영되는가?"를
고민할 수 있는 눈을 키우는 중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하드웨어 인프라부터 하나씩 깊이 파볼게요! 👀
'KT AIVLE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 10 주차: 온프라미스 아키텍처, 3차 미프 (1) | 2025.08.26 |
---|---|
8주차: 네트워크 기초, 데이터베이스 이해 (2) | 2025.07.29 |
6주차: 2차 미니프로젝트 (0) | 2025.06.24 |
5주차: 생성형 AI의 이해와 활용 (0) | 2025.06.24 |
4주차: 미니프로젝트 1차 - 머신러닝/딥러닝 프로젝트 (0) | 2025.05.27 |